RAID-0
데이터가 모든 디스크에 분산되어 저장된다.
- 최소 드라이브 개수 : 2
- 최대 용량 : 디스크 수 x 디스크 용량
- 장점 :
- 동시에 각 디스크에 기록함으로 I/O의 속도가 향상됨
- 디스크 중 하나라도 장애가 발생하면 복구가 어려움
- 단점
- 디스크 중 하나라도 장애가 발생하면 모든 데이터를 사용 할 수 없음
RAID-1(Mirror)
데이터가 2개의 디스크에 중복으로 저장된다.
- 최소 드라이브 개수 : 2
- 최대 용량 : (디스크 수/2) * 디스크 옹량
- 장점 :
- 하나의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동일한 데이터가 다른 디스크에 있으므로 데이터 안정성이 향상
- 단점 :
- 전체 용량의 50% 밖에 사용 할 수 없음
RAID-2
데이터가 모든 디스크에 분산되어 저장되고, ECC(Error Correction COde)는 별도의 디스크에 저장된다. 현재 거의 사용 하지 않음
RAID-3
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를 모든 디스크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패리티 정보는 별도의 디스크에 저장된다. (= RAID-0 + 패러티(바이트) 디스크)
- 최소 드랑브 개수 : 3
- 최대 용량 : (디스크 수 - 1) x 디스크 용량
- 장점 :
- I/O 성능 향상
- 1개의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데이터 보존
- 단점 :
- 임의 쓰기(random write) 성능이 좋지 않음
RAID-4
블럭 단위의 데이터를 모든 디스크에 부산하여 저장하고 패리티 정보는 별도의 디스크에 저장된다. (= RAID-0 + 패러티(블럭) 디스크)
- 최소 드라이브 개수 : 3
- 최대 용량 : (디스크 수 - 1) x 디스크 용량
- 장점 :
- I/O 성능 향상
- 1개의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데이터 보존0
- 단점 :
- 쓰기 성능이 좋지 않음
RAID-5
블럭 단위의 데이터와 패러티 정보가 모든 디스크에 분산되어 저장된다. 데이터를 블럭 단위로 모든 디스크에 나뉘어 저장하고 패리티 정보도 모든 디스크에 분산되어 저장된다. (= RAID-4 - 패러티(블럭) 디스크)
- 최소 드라이브 개수 : 3
- 최대 용량 : (디스크 수 - 1) x 디스크 옹량
- 장점 :
- 지원하는 회사가 많음
- 1개의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데이터 보존
- 단점 :
- 디스크 재구성이 매우 느림
RAID-6
블럭 단위의 데이터와 패리티 정보(2회)가 모든 디스크에 분산되어 저장된다. (= RAID-5 + 2차 패러티)
- 최소 드라이브 개수 : 3
- 최대 용량 : (디스크 수 - 2) x 디스크 용량
- 장점 :
- 2개의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데이터 보존
- 읽기 성능이 우수
- 단점 :
- RAID-5보다 쓰기 성능이 매우 좋지 않음
RAID-01
RAID-0을 구성한 후 RAID-1으로 구성 RAID-10과 차이점은 RAID-0을 먼저 구성하느냐 RAID-1을 먼저 구성하느냐의 차이임 (RAID-0 + RAID-1)
RAID-10
RAID-1을 구성한 후 RAID-0으로 구성 RAID-01보다 유리 (RAID-0 + RAID-1)